아이증여 & 아이 경제

아이에게 증여하는 중입니다. 자녀증여

매일매일하는 2021. 11. 20. 13:47
728x90
728x90

미성년자 증여 10년 2000만원 / 성인 증여 10년 5000만원

이건 이제 누구나 아는 상식.

일찍 알았던 분들은

아이 태어나면 2000만원 

10살 생일에 2000만원

20살 생일에 5000만원  

이렇게 딱딱 증여한다는 요즘.

 

경제에 늦게 눈이 뜨인 나는...

알게된게 2020년

 

첫째 2009년생   12세

둘째 2012년생    9세 에 알게되었지만,

2000만원이 있을리 만무.. 

 

아이들 통장에서도 온전히 다 모아둔게 아니라,,, 

급하다고 빼서 쓰고. 일부 넣고. 빼서 쓰고. 빼서 쓰고. 일부 넣고. 

이런식.. 

 

 

작년 5월 아이들과 모여서 아이들의 통장을  꺼내놓고 이야기. 

그때 두 아이 통장에 있던 돈을 합하면 700만원정도가 되었고. 

그걸 합쳐서 두아이에게 똑같이 나누는게 어떻겠냐고 물었더니. 둘다 오케이 해줌

 

제일 은행에 있던 돈을 찾아서 (근처에 제일은행 없어서.. )

내가 주로 쓰는 신한은행에 가서 아이들 계좌를 살리고 (있었는데 미키마우스. 겨울왕국 통장에 제일은행으로)

아이들 통장 + 주식통장 개설

 

그 뒤로는 아이들 에게 어른들이 주시는 돈은

내가 쓰지 않는 통장에 넣어둔후 (거기엔 아이들돈만)

아이들은 각자의 칠판에 적고. 아이들의 공부용돈 은 통장에. 알바용돈은 본인들 마음대로.

 

이렇게 해두니 아이들도 본인의 돈에 자부심이 생기고. 

늘 자기 몫을 챙기게 되는 좋은 현상. 

 

이렇게 되면 나에게도 아이돈은 아이돈.으로 분리되는 효과. 

 

아!!.

작년에 국세청이랑 통화했을 때

어른들이 주시는 돈도 증여세로 신고해야 한다고 했다. 

나는 그렇게 들어서 모두 신고하고 있다. 

다만 일일히 할머니.얼마. 할아버지 얼마.. 하기에는 복잡해서. 

일괄 내 통장에 넣어두고 매월 1일 아침 아이들 통장에 이체 

홈텍스에서 엄마증여로 일과 신고. 

 

 

 

2021년 11월 현재 증여현황

2009년생 첫찌 약 840만원   + 100만원 (이모)

서류모아놓기

 

2012년생 두찌  약 745만원  + 80만원 (이모)

서류모아놓기

 

728x90